
어스름한 저녁, 시원한 바람 이는 강변을 한가로이 거닐고 싶다. 그 곳 물가를 따라 저 멀리까지 청사초롱이 있었으면 좋겠다. 청사초롱*은 조선 후기에 왕세손이 사용한 것이다. 민가에서는 혼례식에 사용했었다. 그래서 청사초롱은 혼례식을 의미하는 뜻으로 통용되었다. 이상하게도 나는 청사초롱을 보면 웬지 기분이 좋다.
On a twilight evening, I want to take a leisurely stroll along the riverside where the cool wind blows. I wish there were cheongsachorong* far away along the shore. Cheongsachorong was used by the royal descenda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used for wedding ceremonies in private houses. So, cheongsachorong was commonly used to mean a wedding ceremony. Strangely, I feel good when I see cheongsachorong.
*청사초롱(cheong·sa·cho·long): cheongsachorong, traditional Korean lantern with a red-and-blue silk shade
아름다운 전통은 이제 영화 속에서 종종 만날 뿐이고, 마을 곳곳을 휘감던 시냇물은 어린 시절 추억 속에서만 흐른다. 도시화는 정겨운 마을의 정취를 앗아갔다. 옛 시절 폭염을 식혀주던 시원한 우물가 두레박, 그리고 강가에서 소원을 빌며 풍등을 띄우는 내 모습을 상상한다. 소원은 줄지 않고 늘기만 할 뿐인데, 이제 나는 무엇을 빌어야 할까? 지난밤 불면에 취해 잠을 이루지 못했다. 여전히 혼미하다.
Beautiful traditions can only be seen often in movies, and the brook that winds through the village flows only in childhood memories. Urbanization has taken away the cozy atmosphere of the village. In the old days, I imagine the cool bucket by the well to cool off from the heat wave, and the image of myself making a wish by the river and floating a Chinese Wish Lanterns. Wishes do not decrease, they only increase, so what should I pray for now? I couldn’t sleep last night. still confused
북위 1도, 적도에 가까워 일년 내내 뜨겁다. 시시로 쏟아지는 소나기가 뜨거운 열기를 식힌다. 저녁이 되어 선선해지자 강가로 사람들이 모여 들었다. 둘셋 둘러앉아 클락키(Clarke Quay)’의 아름다운 밤을 구경하고 있었다. 클락키는 싱가포르의 수변도시다. 바(Bar)들이 강을 따라 줄지어 있다.
1 degree north latitude, close to the equator, it is hot all year round. The occasional rain shower cools the scorching heat. As the evening came and it got cooler, people gathered by the river. Two or three were sitting around watching the beautiful night of Clarke Quay. Clarke Quay is a waterfront city in Singapore. Bars are lined up along the river.
청춘이라면 가고 싶어하는 곳, 세계 10대 클럽 중 하나, 싱가포르 최고의 나이트 클럽 ‘주크(Zouk)’가 이곳에 있다. 주크는 크레올어로 ‘파티’라는 뜻이다. 30대 초반, 싱가포르 첫인상은 맑고 깨끗했다. 그리고 무더웠다. 그때 면세점에서 샀던 20불 짜리 이태리 수제 넥타이. 그 넥타이는 한 올도 풀리지 않은 채, 색만 조금 바랬을 뿐 지금도 매고 다닌다. 나도 이처럼 변함없이 견실해야 한다 각오하면서!
One of the top 10 clubs in the world, one of the best nightclubs in Singapore, ‘Zouk’, is here where young people want to go. Zouk means ‘party’ in Creole. In my early 30s, my first impression of Singapore was clear and clean. And it was hot. At that time, I bought a 20 dollar Italian handmade tie at the duty free shop. Not a single tie has been untied, only the color has faded a little, but I am still wearing it. With a determination to remain strong and unchanging like this!
수변도시 풍경은 ‘물의 도시’라는 오사카에도 있다. 16세기부터 18세기 전반까지 만들어진 운하는 오사카가 상공업도시로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운하 주변에 화려한 네온사인 불빛 아래로 인파(人波), 말 그대로 사람들이 파도처럼 밀려 다닌다. ‘먹방’의 도시 오사카에 유명한 식당이 많다. 운하 옆 허름한 식당에서 먹었던 우동은 생각만큼 감동적이진 않았지만, 몇 번 갔었던 오사카는 다시 가고 싶을 만큼 좋았다.
The scenery of the waterside city is also in Osaka, the ‘City of Water’. The canal, built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Osaka as a commercial and industrial city. A crowd of people under the colorful neon lights around the canal, literally, people rushing like waves. There are many famous restaurants in Osaka, the city of ‘mukbang*’. The udon I ate at the shabby restaurant by the canal was not as impressive as I thought, but Osaka, which I had been to a few times, was so good that I wanted to go back.
*먹방(muk·bang): Eating Show, Broadcasting introducing food through SNS, etc.

세계 수변 거리를 모티브로 한 라베니체 마치 에비뉴(Laveniche March Avenue), 낮에는 수면 위로 햇살이 반짝이고 밤이면 화려한 조명으로 눈부시다. 형형색색으로 일렁이는 금빛 수로는 주위 상점들과 아파트 단지와의 이질감을 주는 동시에 낭만적이다.
Laveniche March Avenue, with the motif of the world’s waterfront street, is dazzling with the sunlight shining on the water surface during the day and colorful lights at night. The colorfully shimmering golden waterway is romantic at the same time giving a sense of alienation between the surrounding shops and apartment complexes.

물 위를 둥둥 떠다니는 초승달 모양의 보트는 신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바로 ‘문보트’다. 보트가 떠다니는 긴 수로가 인상적이다. 라베니체 옆으로 한강 중앙공원이 자리하는데, 공원 안 수변에 수상 레저 기구를 탈 수 있는 보트 하우스가 있다. 김포 장기동에 위치한 라베니체는 인공 수로를 따라 형성된 상가 거리다. 식당과 카페, 쇼핑도 할 수 있어 주말 나들이에 좋다.
The crescent-shaped boat floating on the water creates a mysterious atmosphere. It’s the ‘Moon Boat’. The long waterway where boats float is impressive. Han River Central Park is located next to Ravenice, and there is a boat house where you can ride water leisure equipment on the waterside in the park. Ravenice, located in Janggi-dong, Gimpo city, South Korea, is a shopping street formed along an artificial waterway. There are restaurants, cafes, and shopping, so it’s good for a weekend outing.

라베니체 거리의 풍경은 세계 여러 곳의 수변도시를 떠올리게 한다. 이탈리아 베네치아를 모티브로 라베니체라는 이름이 탄생했으니, 그만큼 오랜 역사로 이어지면 좋겠다.
The scenery of Ravenice Street reminds me of waterfront cities around the world. The name Ravenice was born with the motif of Venice, Italy, so I hope it will continue with that long history.










Story of Travel
- 라베니체 마치 에비뉴
– 주소 : 경기도 김포시 장기동 2080-1
- 한강 중앙공원
– 주소 : 경기도 김포시 초당로 40
- 금빛 수로 보트하우스
– 주소 : 경기도 김포시 초당로 54
– 문의 : 금빛 수로 수상 레저 사업장 070-4242-0340
– 보트하우스 5블럭에서 보트 탑승
* 매표소운영 시간: 13:00 ~ 22:00 (브레이크 타임 16:00~17:00)
* 문보트: 성인 2명+소아 1명 2만원 / 패밀리보트 성인 6명 2만 5천원
- 주차 안내
한강 중앙공원 주차장 또는 금빛 수로 1교 부근 공영주차장(경기 김포시 장기동 2080-1) 이용
- 대중 교통
시철도 김포골드라인 장기역 5번 출구에서 도보로 약 1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