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도 한때는 머리가 있었다”
On Wednesday, August 12th, 2020, JYP Entertainment CEO Park Jin-young announced the release of a retro-style album. The title of the album is “When We Disco” and the featured duet partner is Sunmi of the girl group Wonder Girls.
2020년 8월 12일 수요일, JYP 박진영 대표가 복고풍 음반 하나를 발표했다. 제목은 “When We Disco”로 듀엣 상대가 걸그룹 원더걸스의 선미였다.
I went to a few discos during my school days, but I was never good at dancing, so I just awkwardly stood or sat around instead of dancing. When I listen to this music, it reminds me of those times and I can’t help but smile.

학창시절 디스코텍 몇 번 가봤는데, 춤에 젬병이라 어정쩡하게 춤추다 말고 대충 자리에만 앉아 있었다. 이 음악을 들으면, 그 시절이 떠올라 나도 모르게 웃음이 난다.
I was amazed to see JYP singing and dancing in the music video. He was in his early 50s when he made the album. While it’s well known that JYP is not only a talented singer and dancer but also an excellent businessman, the part that deserves real respect is that he is a true “Entertainer.”
나는 JYP의 노래하며 춤추는 모습에 놀랐다. 그는 그 음반을 만들 당시 50대 초반이었다. JYP가 노래와 춤은 물론, 탁월한 사업가인 것은 다 아는 사실이지만, 정말 존경받아야 할 부분은 그가 진정한 “딴따라”라는 것이다.
The expression “tantara” for a person who has achieved great social success may be inappropriate, but I hope you understand that it is an expression of respect for his musicality.
사회적으로 크게 성공한 분에 대한 “딴따라” 표현이 부적절 할 수 있겠지만, 그 분의 음악성에 대한 존경의 표현이라는 것을 이해해 주면 좋겠다.
When I saw him dancing and singing at the age of 50, who had no shortage of academic background, personality, or ability, I thought, “It’s really something that people can’t do when they’re grown up.” JPY still seems to have the heart of a 20-year-old.
학벌, 인품, 능력 등 어느 하나도 부족함이 없는 사람이 50의 나이에 춤추고 노래하는 것을 보고, “정말 철이 들어서는 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JPY는 지금도 20대의 심장을 갖고 있는 것 같다.
Is aging a good thing? Is it right to lose color and wear drab clothes as we age? And why do we lose our laughter as we grow older?
철이 드는 것이 좋은 일일까? 나이가 들면 우중충한 옷을 즐겨 입는데, 색채를 잃어버리는 것이 옳은 것일까? 갈수록 웃음을 잃어버리는 데 그건 또 왜일까?
One time, I was sitting in a coffee shop near the Gubanpo subway station with my friend, and two teenage girls sitting in the adjacent seats were studying English, and their constant giggles and laughter while studying was so adorable and pleasant to watch. However, I couldn’t help but think to myself, “When these kids grow up, they’ll probably lose that laughter just like the previous generations did.”
예전에, 구반포 지하철역 사거리 한 커피숍에서 친구와 커피를 마시고 있었다. 바로 옆 좌석에 10대 여자 아이 둘이 영어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공부를 하면서 쉬지 않고 깔깔깔 거리는 모습이 너무 사랑스럽고 보기 좋았다. 하지만 나는 생각했다. “저 아이들이 어른이 되면 그들의 앞선 세대처럼 저 웃음을 잃어버리겠구나!”라고.
When 10-20 year old women gather, they laugh endlessly and giggle, and this phenomenon is said to occur in all cultures. And it is also said that once they reach their 20s, they lose that laughter, and this is also true in all cultural regions. I don’t know the reason why this laughter of 10-20 year old women is taken away, like God takes away a man’s prepubescent voice.
10-20대 여자들이 모이면 끝도 없이 깔깔 거리며 웃는데, 특이하게도 이 현상이 모든 문화권에서 나타난다고 한다. 그리고 20대가 지나면 그 웃음을 읽어버린다고 하는데, 이 역시 모든 나라 문화권에서도 그렇다고 한다. 신께서 남자의 변성기 전 미성을 앗아가는 것처럼, 10-20대 여자의 웃음을 거둬가는 이유는 모르겠다.
The topic of this post seems to have shifted a bit. The subject is now about my “hair”! I feel quite depressed because of the barrenness of my hair. People try to comfort me by saying it’s something everyone goes through, but in reality, their words don’t really console me. How can I live without hair when I still have so much time ahead of me?
글이 약간 다른 곳으로 갔다. 이번 글의 주제는 내 ‘머리카락’인데! 삭막하게 잃어버린 머리카락 때문에 상당히 우울하다. 누구나 겪는 일이라며 위로하지만, 사실 위로가 잘 안된다. 남은 세월이 얼마인데, 머리없이 어떻게 살란 말인가?
As life expectancy increases, the concepts of youth, middle age, and old age that we have known have become blurred. In other words, what used to be considered middle age now could be considered youth. Of course, having hair would make someone look even more youthful.
수명이 길어지다보니, 관념화되어 우리가 알고 있던 청년, 장년, 중년, 노년의 개념이 모호해졌다. 다시말해, 예전에는 중장년이라 불리던 나이지만, 지금은 청년으로 살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머리가 있으면 더 청년다울 것이다.
Even as we age, people with full heads of hair may look at me now and feel proud, but I protest. “There was a time when I had hair too!” In fact, there are two reasons why I use this phrase like a proverb. First, it means that I shouldn’t become complacent as I age, but rather play and live my lives to the fullest like when I had hair. Second, it’s a reminder to be mindful of losing something precious.
나이가 들어도 머리가 풍성한 사람들은 지금의 내 모습을 보며 자부심을 느끼겠지만, 나는 항변한다. “나도 한때는 머리가 있었어!”라고. 사실, 이 말을 내가 격언처럼 사용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머리가 있었던 그때처럼 철들지 말고 열심히 놀며 살자는 것이다. 둘째는, 소중한 무언가를 잃어버린 것에 대해 경각심을 갖자는 것이다.
JYP, who knows the will of heaven for his own talent, seems to live a “brilliant life.” For him, there is dance and music, and above all, the laughter of young people around him. He will someday say to himself, “It was truly a brilliant time!”
자신의 재능에 대한 하늘의 뜻을 아는 JYP는 “찬란한 삶”을 사는 것 같다. 그에게는 춤과 음악이 있고, 무엇보다도 그 주위에 젊은이들의 웃음이 있다. 그는 언젠가 스스로에게 말할 것 같다. “정말 찬란했던 시절이었어!”
In my school days, there was a food that I used to eat on a hot summer night at a friend’s house with the breeze blowing through the hair. That food is none other than ‘ramen’
학창시절 뜨거운 여름밤 친구 집에서, 선풍기 바람에 “머리카락 휘날리며” 먹던 음식이 있다. 그게 바로 ‘라면’이다.
(“홀로 추는 춤“, 라멘몰닷컴 미국 생존기)
- Please visit here for Korean lyrics and English trans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