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홀로 추는 춤”
Café Trois is different from the usual coffee shops in Palpak in that its interior is bright and cheerful. When I came here with my friend, he pronounced the café’s name as ‘뚜와(Touwa)’ instead of ‘트로이스(Trois)’ and explained that it means ‘Café Three’ in French, which refers to the ballet term ‘Pas De Trois’ where three people dance together in a group. “So, is it a café run by three people?” I thought to myself.
카페 트로이스 (Café Trois)는 팰팍 여느 커피숍과는 달리 내부가 환하고 밝다. 친구와 이곳에 함께 왔을 때, 그는 카페 이름이 ‘트로이스’가 아닌 ‘뚜와’로 발음한다며, 프랑스어로 숫자 3 이라고 했다. ‘카페 셋’이라는 뜻. 클래식 발레에서 세 사람이 한 조가 되어 추는 춤을 ‘빠 드 뚜와(Pas De Trois)’라 한다니, 세 명이 동업하는 카페인가? 하고 속으로 생각했었다.

I ordered a regular blended coffee and a French cream donut with whipped cream inside, lightly toasted with butter, at 10 a.m. They were $2.25 and $2.90 each, respectively. The regular Americano that I usually drink costs $3.50. Nowadays, I order house coffee, which is made by grinding coffee beans and extracting them with steam, as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is and Americano.
오전 10시, 블렌드 커피 레귤러와 기름에 살짝 구운 빵에 생크림이 들어간 프렌치 크림 도넛을 주문했다. 각각 2.25, 2.90달러였다. 내가 늘 마셨던 아메리카노 레귤러는 3.50달러다. 하우스 커피가 원두를 갈아 스팀으로 뽑는 아메리카노와 별차이가 없어 요즘은 이것을 주문한다.
I sat at a small one-person table instead of my usual spacious seat. The light gray marble floor didn’t match the bright café atmosphere, and I thought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y had used wooden flooring. The spring breeze is blowing outside the bright and spacious café window, and the temperature is above 15 degrees Celsius today, making the wind warm. There is no greater blessing in our lives than the “return of spring breeze.” So I patiently wait for the “spring breeze” that comes to me without getting tired.
항상 앉던 넓은 좌석이 아닌 1인용 테이블에 앉았다. 옅은 회색 바닥 대리석이 밝은 카페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아, 원목 나무를 깔았으면 좋았을 거라 생각했다. 환하고 넓은 카페 창문 밖 주차장에는 봄바람이 불고 있다. 오늘 기온이 영상 15도가 넘어 바람이 따뜻하다. 이제 우리 인생에 “다시 또 봄바람”이 오는 것만큼 더 큰 축복은 없는 듯하다. 그래서 나는 내게 오는 “봄바람”을 지치지 않고 기다린다!
Coffee Transfusions –
My weary life craves for strong coffee every day, like an emergency blood transfusion for a patient wandering through difficult times. The longing is “Black as the Devil, Hot as Hell, Pure as an Angel, Sweet as Love.” – Talleyrand)
커피 수혈 –
고단한 나의 삶은 사경을 헤매는 환자에게 긴급한 수혈처럼 매일 진한 커피를 갈망한다. 그 갈망은 “악마와 같이 검고, 지옥과 같이 뜨겁고, 천사와 같이 순수하고, 사랑처럼 달콤하다.”
Listening to Beethoven’s Sonata Pathétique while drinking coffee feels like my blood is flowing through my body. “The Piano Sonata No. 8 in C minor, Op. 13, commonly known as Sonata Pathétique, was written by Beethoven during the happiest and most peaceful time of his life. However, the sorrow and grief of a young man that he felt in his late 20s can be felt throughout the piece,” as described in a blog post. Just like the writer, the sorrow and grief that I felt for “someone” during my early 20s still lingers with me to this day.
베토벤 소나타 ‘비창(Sonata Pathétique)’을 들으며 마시는 커피는, 내 몸 속 피가 되어 흐르고 있다. “피아노 소나타 ‘비창’은 베토벤이 외관상 가장 평온하고 행복했던 시절에 쓴 ‘슬픈 노래’로, 20대 마지막 무렵에 느꼈을 법한 청년의 애상감이 곡의 전편에 흐르고 있다.”는 어느 블로거의 글처럼, 20대 초반에 “누군가”에게 느꼈던 애상은 오래도록 그 시절을 붙들고 놓지를 않는다.

Café Trois is bustling with customers from early in the morning, many of them older than me, including members of the American expat community who seem to enjoy the variety of coffee and bread that used to be the exclusive domain of young people. For the past year, I’ve been coming here alone to read books, write, and listen to music while sipping coffee. Although I now work somewhere else, I still dream of one day sharing a cup of coffee with “someone” at this place.
카페 뚜와는 아침부터 ‘한남마트’에 오는 손님들로 북적인다. 미국 교민사회도 노령화가 심해서인지 나보다 훨씬 많은 연령대의 손님은 남녀 가릴 것 없이, 한때 젊은이의 전유물이었던 다양한 커피와 빵을 먹는다. 나는 지난 1년 간 홀로 이곳에서 커피를 마시며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음악을 올리곤 했다. 지금은 다른 곳에서 작업을 하지만, 언젠가 이곳에서 “누군가”와 커피를 마시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In the past year, I bought a lot of ramen from Hannam Mart. Previously, Nongshim Shin Black was the cheapest, so I thought I almost bought it.
지난 1년 간 한남 마트의 라면을 무척 많이 샀다. 예전에는 농심 신블랙이 가장 저렴해서 거의 내가 샀을 거라 생각할 정도였다.

Roughly calculating, I bought about 10,000 bundles of instant ramen and 45,000 to 50,000 single packages in my first year. In 2015, the US instant noodle market was 4.2 billion, so it would have exceeded 5 billion last year. I accounted for 0.000002% of the US noodle market. There are five zeros after the decimal point. I wonder how much of the US market Ramen Mall can capture in the future, while sipping my coffee, pondering the unknown number.
대략 계산해 보니, 지난 첫 1년간 내가 판 번들라면은 10,000여개, 싱글로는 4,5만 개 정도다. 2015년 미국 라면시장이 42억개였다고 하니 작년에는 50억개는 넘었을 것이다. 나는 미국 라면시장의 0.000002%를 점유했다. 소수점 아래 ‘0’이 다섯 개다. 라멘몰은 향후 얼마의 미국시장을 점유할 수 있을까? 나는 알지 못하는 그 숫자를 헤아리며 쓴 커피를 마신다.
“I took one more shot while someone commented that my fingers looked long while taking the picture. Is that so?” I thought to myself before leaving the café.
사진을 찍는데, 내 손가락이 길다고 하니, 그런가? 하며 한 컷 더 누른 후에 카페를 떠났다.
(“홀로 추는 춤“, 라멘몰닷컴 미국 생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