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15(금), 김영완 총영사는 미 해병의 집(Marine House U.S.A.)과 함께 미 해병1사단 캠프 펜들턴(Camp Pandleton)에서 미 해병대 참전용사 및 가족, 미 해병 1군단장 및 1사단장 등 현역 장병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상륙작전기념식을 개최하였습니다.

금일 기념식에는 Bradford Gering 미 해병대 1군단장(중장), Benjamin Watson 1사단장(소장) 등 해병대 현역 장병들과 예비역들이 참석하여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싸운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공적에 경의를 표하였습니다.

특히 Benjamin Watson 1사단장은 기념사를 통해 “70년간 이어진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매년 인천상륙작전 기념식을 개최하는 주LA총영사관과 미 해병의 집에 감사의 인사를 전하였고, 한국전 발발 후 수 주만에 부대를 재편성하여 큰 조수간만의 악조건을 극복하고 역사에 남을 상륙작전을 성공시킨 것은 모두 용감한 해병 참전용사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습니다.



김영완 총영사는 “인천상륙작전은 미 해병대에서 가장 오래 전에 창설되고 큰 규모를 자랑하는 해병1사단의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기념비적인 작전이었다. 맥아더 장군조차 성공확률을 500대1로 볼 만큼 조석간만의 차이, 태풍 등 각종 변수를 이겨낸 기적이었으며, 한국전쟁의 큰 흐름을 결정적으로 바꿔 국군과 유엔군이 우리 강토를 대부분 수복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이후 이어진 원산상륙작전, 장진호 전투 등 해병1사단의 역할을 전쟁 내내 계속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참전용사의 업적을 기리는 것에는 국적이 있을 수 없고, 한국과 미국 양국 젊은 용사들의 업적은 영원히 대한민국 국민의 가슴 속에 남아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인천상륙작전은 맥아더 UN사령관의 지휘로 수세에 몰리던 6.25전쟁의 전세를 완전히 역전시킨 놀라운 작전이었습니다. 유엔연합군은 이 작전의 성공을 바탕으로 북한군의 퇴로와 보급로를 차단하고 서울을 다시 수복할 수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