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업체를 상대로 카메룬 업체들의 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 바, 이에 주요 사기성 비즈니스 유형 및 예방책을 알려드리오니, 거래전 반드시 확인하시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사기성 무역 거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정부 발급서류를 위조합니다. 사업자등록증, 수출입면허증 등 서류 상단 및 하단 직인에 존재하지 않는 정부부처명을 기재하므로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라고 주요 부처명 위조사례는 하단의 목록을 참조하십시오.
둘째, 과다한 물량의 수입 오더을 제시합니다. 최초 거래부터 금 5,000kg등 컨테이너 단위로 물량을 제안합니다.
세째, 수출전 보관료, 수출 허가증 발급, 인지세 등 명목으로 송금을 요구합니다. 물량 과다로 선적전 보관이 필요하다며 보관료 사전송금을 요구하고, 수출 승인 등 명목으로 수수료 사전송금을 요구하며, 물품수입에 법인설립 또는 인증이 필요하다고 관련 업무수행 컨설팅 업체 소개후 관련 수수료를 요구합니다. 이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아주 대표적인 사기 사례들 입니다.
네째, 정부기관이나 은행이 개입합니다. 정부부처 명의로 수출입에 필요한 수수료를 요구하고, 수입대금을 입금하겠다며 한국기업의 계좌정보 요청 후 계좌해킹을 시도합니다.
다섯째, 유선번호가 아닌 휴대전화번호 (65, 67 또는 69로 시작)만을 제공합니다. 카메룬 국가번호 237 뒤에 22(야운데) 또는 23(두알라)으로 시작하는 9자리 유선전화번호 확인이 필수입니다. 휴대전화는 65, 67 또는 69로 시작됩니다. 유선번호를 제시하지 않는 업체는 무조건 의심하십시오.
사기 예방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사업자등록증 및 수출입면허증을 확인하십시오. 거래 시작시 반드시 사업자등록증, 수출입면허증 등 업체의 존재를 확인할수 있는 서류를 요청하십시오. 서류에 기재된 부처명 등을 하단에 적시한 부처명과 대조하여 진위여부를 확인하십시오.
둘째, 수출의 경우 물량 선적전 요구하는 어떠한 명목의 수수료 송금도 주의하십시오. 정부 및 은행 요구라며 수수료 송금 요청시 반드시 거래를 중단하십시오.
세째, 주카메룬대사관에 업체 진위여부 확인을 요청하십시오. 업체의 사업자등록증등을 확보하여 주카메룬대사관(cameroon@mofa.go.kr)에 진위여부 확인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